군적금 만기 수령액 | 장병 목돈 마련 필수 가이드
군 생활 중 가장 확실한 재테크, 바로 군적금입니다.
매달 일정 금액을 넣고 만기까지 유지하면 제대 후 목돈을 만들 수 있는데요.
오늘은 군적금 만기 수령액이 실제로 얼마나 되는지, 그리고 세금·우대금리를 고려한 계산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.
군적금이란?
군적금은 현역 장병만 가입 가능한 특별 적금 상품으로, 일반 적금 대비 큰 장점이 있습니다.
- 가입 대상 : 육군·해군·공군·해병대·의무경찰·의무소방 등 현역 장병
- 월 납입 한도 : 최대 40만원
- 가입 기간 : 6개월 ~ 36개월
- 금리 혜택 : 기본 금리 + 우대금리(최대 연 5~6% 수준)
- 세금 혜택 : 이자소득세(15.4%) 비과세 가능
👉 일반 적금과 달리 비과세 + 우대금리 덕분에 실수령액이 훨씬 커집니다.
군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 방법
군적금은 단순히 월 납입액 × 개월 수
가 아닙니다.
매달 납입 시점에 따라 복리로 이자가 붙기 때문에 월 복리 계산을 적용해야 정확합니다.
예시 ①
- 월 납입액 : 40만원
- 가입 기간 : 24개월
- 금리 : 연 5%
👉 만기 예상 수령액 ≈ 1,003만원 (원금 960만원 + 이자 43만원)
예시 ②
- 월 납입액 : 30만원
- 가입 기간 : 18개월
- 금리 : 연 5% + 우대 1% = 6%
👉 만기 예상 수령액 ≈ 557만원 (원금 540만원 + 이자 17만원)
※ 실제 금액은 은행별 상품 조건과 계산 방식(일 단위, 세후 적용)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군적금 만기 수령액 예시표
월 납입액 | 12개월 (5%) | 24개월 (5%) | 36개월 (5%) |
---|---|---|---|
10만원 | 약 122만원 | 약 245만원 | 약 370만원 |
20만원 | 약 244만원 | 약 490만원 | 약 741만원 |
30만원 | 약 366만원 | 약 735만원 | 약 1,112만원 |
40만원 | 약 488만원 | 약 980만원 | 약 1,483만원 |
👉 전역 시기에 맞게 기간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세후 이자 계산 (비과세 vs 일반과세)
- 비과세 상품 : 이자 전액 수령 (군적금 대부분 해당)
- 일반과세 상품 : 이자에서 15.4% 세금 차감
예를 들어, 세전 이자가 50만원이라면:
- 비과세 : 50만원 전액 수령
- 일반과세 : 약 42만 3천원 수령
👉 군적금은 세금 걱정 없는 비과세 상품이 많아 더 유리합니다.
군적금으로 목돈 만드는 팁
- 월 최대 한도(40만원)까지 납입 → 목돈 효과 극대화
- 우대금리 챙기기 → 급여이체, 자동이체, 앱 로그인 이벤트 등
- 전역일에 맞는 기간 선택 → 중도해지 시 금리 혜택 손실
- 월초 납입 선택 → 같은 기간이라도 이자가 더 붙음
마무리
군적금은 단순히 저축이 아니라 장병에게 주어진 최고의 재테크 혜택입니다.
만기 수령액을 미리 계산하고 꾸준히 납입한다면, 전역 후 학비·여행·창업자금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.
👉 군적금 만기 수령액 계산기를 활용해 지금 바로 본인에게 맞는 계획을 세워보세요!
추천 해시태그
#군적금 #군적금만기 #군적금수령액 #군적금계산기 #군인재테크 #군적금비과세 #장병내일준비적금